메디푸드 연구개발 치료목적의 식품에 대해 알아보자

음식은 기초영양을 섭취하기위해 먹기도하고, 요즘같은 세상엔 맛을 즐기고싶어서 먹는 낙이 많은데요! 맛을 넘어서 저속노화 트렌드와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료목적의 식품 ‘메디푸드(Medifood)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해요 (신기한 세상)

메디푸드를 처음듣고 좀 찾아보니까 단순히 영양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특정 질환의 관리 및 예방을 목적으로 설계된 기능성 식품이라고 하는데요.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메디푸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기록해보겠습니다.

메디푸드란 무엇인가?

메디푸드는 Medical + Food의 합성어로, 병원에서 제공하는 식사 혹은 환자를 위한 특수 조제식품과는 구별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뇨 환자용 저GI 식단
  • 신장 질환자용 저단백식
  • 항암 치료 환자용 고열량·고단백 식품
  • 노인용 연하(嚥下) 보조 식품

국내에서는 ‘특수의료용도등식품’ 또는 ‘영양조제식품’으로 분류되며, 의료진의 권고 하에 섭취되는 식품군입니다.

메디푸드 연구개발의 트렌드

메디푸드 연구개발은 기능성 원료 개발 → 배합기술 → 임상 평가 → 상용화 단계를 거치며 다음과 같은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1. 개인맞춤형 메디푸드
    • 유전체 분석을 기반으로 질환별 맞춤 영양설계
  2. 천연 유래 성분 기반
    • 화학첨가물 최소화, 항염·항산화 중심의 건강 기능성 강화
  3. 스마트 조리·포장 기술
    • 장기 보관 가능, 병원 환자나 재가요양환자도 간편 섭취 가능
  4. HACCP, GMP, 식약처 고시 기준 강화
    • 안전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규제 중심 R&D 확대

실제 기업 사례 및 시장 동향

국내외 여러 식품기업과 바이오벤처가 메디푸드 분야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 뉴트리시아 (Nutricia): 네덜란드 다논 그룹 계열로, 고열량·고단백 메디푸드를 전문 생산. 국내에서는 ‘듀오칼’ 등 제품 유통.
  • 한국야쿠르트: ‘케어푸드’ 브랜드를 통해 연하장애, 항암환자 대상 메디푸드 개발 및 유통.
  • CJ제일제당: 맞춤형 기능성 식품 및 고령친화식 개발 R&D 강화.

국내 메디푸드 시장은 2025년 약 1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른 전문 식품군으로서 별도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창업자 및 기업을 위한 정책 지원 정보

정부와 지자체는 메디푸드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식품산업기술개발사업 (농림축산식품부)
    • 메디푸드 R&D에 대한 직접 자금 지원
  • 고령친화식품 육성사업 (식품의약품안전처)
    • 고령자 맞춤 메디푸드 인증 및 시제품 개발 지원
  • 지역특화 메디푸드 클러스터 구축
    • 예: 전북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경북 안동 바이오산업단지

이 외에도 창업 초기기업을 위한 기술창업 R&D 바우처임상실증 연계 프로그램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메디푸드 산업의 미래 전망

  • 초고령 사회 진입: 2025년 기준 대한민국 65세 이상 인구 비율 20% 초과 전망
  • 헬스케어 산업 융합: 병원-약국-가정 간 연결된 맞춤형 영양 설계 서비스 성장
  • 해외 수출 가능성: 일본, 미국, 유럽 등 고령화 국가를 대상으로 K-메디푸드 수출 추진 가능

메디푸드는 단순한 식품이 아닌, 의료서비스의 연장선에서 소비되는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환자·노인 위한 ‘메디푸드’ 뜬다…제약업계도 속속 진출


연합뉴스https://www.yna.co.kr › 최신뉴스

2024. 1. 12. — 식약처는 2026년까지 간질환, 염증성 장 질환자용 식품의 표준 제조기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112120600017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